|
방사청은 오는 23일 입찰 참여 희망 업체와 국내 협력 업체를 대상으로 사업설명회를 연다. 제안요청서 배부와 제안서 작성을 위한 질의 응답 시간도 마련할 예정이다.
방사청은 앞으로 내년 3월부터 4월까지 우선 협상 대상 업체와의 협상을 마치고 전반기 중에 체계개발에 착수할 예정이다.
입찰 공고문에는 부가가치세를 포함해 약 8조6700억원의 사업비와 함께 사업 기간, 참가 자격 등의 내용이 공지됐다.
KFX 업체 선정은 관련 법·규정에 따라 개발과 국산화 계획, 기술과 인력·장비·시설 보유 현황 등을 포함한 기술적 분야, 개발 비용에 대한 제안서 평가를 종합해 협상대상 업체와 협상우선 순위를 결정할 예정이다.
그동안 사업설명회는 통상적으로 주요 업체만 참석하는 것으로 제한해 왔기 때문에 한국항공우주산업(KAI)과 대한항공(KAL) 관계자만 참석할 것이라는 예상이 많았다.
하지만 국산화와 국내 연구·개발을 중시하는 장명진 방사청장 취임 이후 첫 대규모 이번 사업 설명회에는 국내 구성품 협력업체들도 2명씩 참석할 수 있게 됐다. 방산업계에서는 방사청의 긍정적 변화의 신호로 보고 있다.
특히 장 청장은 이번 KFX 입찰 공고를 내기 직전까지 탐색개발을 수행한 국방과학연구소(ADD)와 국방연구원(KIDA) 등 이번 사업과 관련된 관계자들을 방사청으로 모두 불러 기획재정부로부터 통보 받은 총 사업비 8조6700억원에 대한 타당성을 다시 한번 꼼꼼히 검증한 것으로 전해졌다.
초기 연구·개발 비용 8조원을 포함해 양산과 운용 유지까지 30조원에 육박하는 창군 이래 최대 국책 사업인 KFX 사업 선정에 대한 향방에 항공업계의 지대한 관심이 쏠리고 있다.
무엇보다 당초 KAI가 사업을 맡을 것이라는 관측이 유력했지만 KFX 사업이 앞으로 40년 간의 대한민국 항공 미래 산업에 엄청난 파급 효과를 가져올 것이라는 관측에 따라 KAL이 뒤늦게 입찰전에 뛰어 들면서 예측불허 2파전 양상으로 흐르고 있다.
다만 최근 조현아 전 KAL 부사장의 ‘땅콩 회항’ 사태가 이번 KFX 사업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가 초미의 관심 사항이다.
일각에서는 이번 ‘땅콩 회항’으로 적지 않은 타격을 입은 KAL이 사업을 가져가야 한다는 동정론이 있는 반면 이번 사태가 입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 KAI가 더 유력해졌다는 분석도 있다.
대한민국 국적기를 운영하는 KAL이 국내 항공산업 발전을 위해 KFX 사업을 맡아야 한다는 의견과 함께 기술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는 KAI가 선정돼야 한다는 견해가 첨예하게 맞서고 있다.
KFX 사업에 밝은 한 소식통은 “어찌됐든 간에 최근 ‘땅콩 회항’ 사태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KAL이 이번 입찰전에 세게 들어올 것은 확실해 보인다”면서 “다만 KAI와 KAL이 세게 경쟁을 붙으면서 내부 출혈 경쟁을 하게 되면 KFX 사업 전체에 나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점은 조심해야 한다”고 말했다.
KFX 사업은 공군의 노후전투기 F-4·F-5 도태에 따른 전력 보강과 함께 미래 전장 운영에 부합하는 전투기를 연구 개발하는 사업이다. 한국이 개발을 주도하고 인도네시아와 해외 선진 항공기술업체(TAC)가 참여하는 형태의 국제 공동 개발 사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