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행동주의 펀드란 단순히 주식 투자만 하는 것이 아니라 투자한 기업의 경영 개선도 요구해 적극적으로 주주권리를 행사하는 펀드를 말합니다. 행동주의 펀드는 1%대의 지분 만으로도 경영 간섭이 가능합니다. 최근에는 행동주의 펀드뿐만 아니라 사모펀드나 헤지펀드, 일반 기관투자자들도 수익률 제고의 수단으로 행동주의 전략을 활용하면서 국내 기업들의 경영권을 위협하는 사례도 생겨났습니다.
최근 고려아연과 영풍의 경영권 분쟁 사이에 껴있는 국내 최대 사모펀드인 MBK파트너스가 대표적인 사례로 꼽힙니다. 영풍과 MBK파트너스 연합의 공개매수는 주가조작, 사기적 부정거래 등 시장 교란 행위에 해당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습니다.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행동주의 펀드로 공격을 받은 국내 기업은 77곳에 달했습니다. 불과 2019년만 하더라도 8곳에 그쳤던 행동주의 펀드의 대상이 지난해 10배 가까이 급증한 것입니다.
통상 행동주의 펀드는 주주총회 시즌을 염두에 두고 본격적인 캠페인 대상 기업을 선정합니다. 주로 표적이 되는 기업은 주가가 저평가 상태에 있는 기업들인데요. 이러한 기업들이 주주환원 정책을 강화할 경우 주주가치가 대폭 커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업계에서는 행동주의 펀드의 압박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의결권 대행사를 사전에 고용해 주주제안 및 경영권 분쟁에 대비하는 것이 필수라는 목소리가 나옵니다. 특히 의결권 대행사도 주총 시즌에 수임 가능한 한계가 있는 만큼 사전에 알아보고 조기 고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합니다.
또한 미리 주주들과 소통하며 주주가치를 제고하기 위한 중장기 전략 마련도 필요합니다. 과거 펀드들은 수익률에만 주력했지만 이제 행동주의 펀드는 부실경영에 대한 책임 추궁, 경영 투명성 제고 등을 요구하며 이익을 극대화하려는 추세로 변화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와 함께 법률 및 금융 자문사 협력도 대비책으로 꼽힙니다. 공격적인 행동주의 펀드의 경영 간섭이 기업들에게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어 경영권을 보호하고 주주와 협력 관계를 강화할 수 있도록 미리 자문을 받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주주들의 의견을 회사가 미리 듣고 우려사항에 대해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기업들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활동도 중요해졌습니다. ESG 영역에서 잘못된 관행으로 인해 회사가 표적이 될 수도 있기 때문인데요. 환경과 관련된 기후 변화 위험에 대한 공시를 늘리고, 노동·보건·안전 관행을 포함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지속적으로 강화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