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노인빈곤율 40%로 OECD 1위
전문가들 “모든 세대가 더 내고 덜 받아, 노후 불안”
|
26일 전문가들과 시민들은 정부 계획대로 국민연금에 자동조정장치를 도입하면 실질 연금액이 줄어 노후 소득 보장 기능이 퇴색된다고 우려했다. 현재는 매년 물가 상승률에 따라 연금액이 오르지만 자동조정장치를 도입하면 가입자 수 감소 및 기대수명 증가에 따라 물가상승 적용분이 축소돼 연금액이 줄어든다.
정부는 지난 4일 국민연금 개혁안을 발표하면서 자동조정장치 도입 시 연금 고갈 시점을 최대 32년 늦출 수 있다고 발표했지만, 연금 감소액은 밝히지 않았다. 시민사회가 해당 장치를 도입하면 연금액이 최대 20% 삭감된다는 분석 보고서를 내는 등 여론이 악화되자 정부는 지난 25일 줄어드는 연금액 수치를 뒤늦게 밝혔다. 보험료율을 9%에서 13%, 소득대체율 40%에서 42%로 올리는 기준으로 1975년생 5571만원, 2005년생 3153만원 줄어든다. 95년생 3921만원, 85년생은 최대 4577만원 감소한다.
다만 정부는 연금액 인상률 하한선 0.31%를 설정해 해마다 연금액 자체는 늘어나고 낸 보험료보다도 연금액이 더 많다는 입장이다. 기금 소진 시점도 기금수익률 1%p 인상 전제로 최대 32년 늦출 수 있어 도입해야 한다는 의견이다.
하지만 자동조정장치를 도입하지 않은 경우보다 연금액이 최대 5500만원 삭감돼 지금도 최악인 노인 빈곤 문제가 이어질 것이라는 비판이 나온다. OECD가 지난해 발표한 '2023년 연금보고서'를 보면 한국 노인빈곤율은 40.4%로 OECD 회원국 1위다. 평균 14.2%보다 3배 가까이 높다.
오종헌 공적연금강화국민행동 사무국장은 "공적연금은 사적연금과 달리 낸 거보다 더 많이 받는 것이 아닌 노후 소득을 얼마나 보장할 수 있는지가 중요하다"며 "정부안대로 자동조정장치를 도입하면 연금액이 최대 15% 줄어 노후 빈곤 문제를 해결하기 어렵다. 국민연금연구원이 예상한 2085년 노인빈곤율 30%보다 더 나빠질 수 있다"고 말했다.
국민연금연구원이 지난해 발표한 'NPRI(국민연금연구원) 빈곤전망 모형 연구' 보고서를 보면 국민연금 소득대체율(40%)과 기초연금액(30만원)을 현행대로 유지할 경우 2085년에도 노인 10명 중 3명(29.8%)은 빈곤 상태에 있다. 이는 자동조정장치 도입을 고려하지 않은 수치다. 윤석열 정부 공약대로 기초연금을 40만원으로 인상해도 2085년 노인빈곤율은 25.49%에 달한다. 여전히 OECD 평균 노인빈곤율 예상치(15~16%)보다 2배 가까이 높은데, 자동조정장치를 도입하면 더 나빠질 수 있다는 비판이다.
남찬섭 동아대 사회복지학 교수도 "소득대체율을 42%로 높이더라도 자동조정장치를 도입하면 국민연금연구원이 추정한 2085년 노인빈곤율 29.8%보다 악화할 것으로 보인다"며 "노인 인구가 급증하는 상황에서 보장성을 떨어트리면 국민 노후 삶이 불안해진다. 세대별로 보험료 인상속도를 차등화한다지만 결국 모든 세대가 더 내고 덜 받게 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