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중국산 수입 급증 동남아, 추가관세 등 규제 강화 속 중국 보복 눈치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files.asiatoday.co.kr/kn/view.php?key=20240901010000143

글자크기

닫기

하만주 워싱턴 특파원

승인 : 2024. 09. 01. 10:18

닛케이 "동남아 국가, 급증 중국산에 추가관세 부과, 반덤핑 조사"
인도네시아 "수입 섬유제품에 최대 50% 추가관세"
베트남, 2배 폭증 중국산 철강 반덤핑 조사
동남아, 중국 보복 우려, 부과 세율 인하
MYANMAR-CHINA/
왕이(王毅) 중국공산당 중앙외사판공실 주임 겸 외교부장이 7월 27일 라오스 비엔티안 국립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제57차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아세안) 및 제14차 동아시아 정상회의 외교장관 회의에 참석하고 있다./로이터·연합뉴스
중국산 수입품이 급증하고 있는 동남아시아 국가들이 자국 산업을 보호하기 위해 추가 관세 등 규제를 강화하면서도 중국의 보복을 우려해 그 강도를 완화하고 있다고 니혼게이자이(日本經濟)신문(닛케이)이 1일 보도했다.

인도네시아는 8월 니트·직물·카펫 등 섬유제품 수입품에 대해 관세를 인상하는 세이프가드(긴급수입제한) 조치를 발동했다. 인도네시아 정부는 도자기 등 세라믹 제품의 수입 관세도 인상할 계획이다.

이와 관련, 줄키플리 하산 무역부 장관은 "추가 관세가 40~50%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고 닛케이는 전했다. 줄키플리 장관은 "국내 산업에 위협이 되는 수입품을 관리할 것"이라며 섬유·의류·도자기 등 7개 품목에 대해 추가 관세를 부과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이번 조치는 모든 수입품을 대상으로 하고 있지만, 중국산을 염두에 두고 있다고 닛케이는 분석했다. 중국산 섬유제품과 도자기 수입이 급증해 인도네시아 관련 기업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기 때문이다. 인도네시아 전국노동조합총연맹에 따르면 1~6월에 최소 10개 섬유업체가 사업 재편이나 인력을 감축해 약 1만4000명이 해고됐다.
인도네시아 중앙통계청에 따르면 1~6월 중국산 수입액을 324억달러로 전년 동기 최근 5년간 최고치인 8% 증가했다.

올 상반기 중국산 수입액이 전년 동기 대비 34%나 급증한 베트남의 경우 업계의 요청에 따라 정부가 중국산 철강에 대한 반덤핑 관세 부과를 위한 조사에 착수했다. 베트남의 중국산 철강 수입은 올 상반기 571만t으로 전년 동기 대비 2배 가까이 폭증했고, 베트남 최대 철강기업인 호아팟그룹의 쩐 딘 롱 회장은 지난 4월 "국내 생산이 위험에 처해있다"며 중국산 철강재 수입에 강한 위기감을 드러냈다.

CHINA-GUANGXI-NEW INT'L LAND-SEA TRADE CORRIDOR-CONTAINERS (CN)
드론이 7월 31일(현지시간) 찍은 중국 남부 광시좡족(廣西壯族)자치구 친저우(欽州)항 모습으로 8월 2일 기준, 이 신국제육상해상무역회랑을 통해 운송된 철도·해상 복합운송용 컨테이너는 50만개가 넘는데, 이는 역대 같은 최고 수준이라고 중국 관영 신화(新華)통신은 보도했다. 신화는 중국 서부의 성(省) 단위 지역들과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아세안) 회원국이 공동으로 건설한 이 회랑은 120개 국가 및 지역의 490개항으로 컨테이너를 운송한다고 이 회랑의 운영 허브인 쓰촨(四川)성 충칭(重慶)시가 지난 1월 발표한 데이터를 인용해 전했다./신화·연합뉴스
올 상반기 중국산 수입이 7% 증가한 태국은 7월부터 1500바트(5만9000원) 이하 수입품에 7%의 부가가치세를 부과하고 있다. 전자상거래를 통해 중국산 잡화·의류 수입이 증가하고 있어 국내 산업을 보호하려는 목적이다.

남중국해 스프래틀리군도(중국명 난사<南沙>군도·베트남명 쯔엉사군도·필리핀명 칼라얀군도) 영유권 분쟁으로 충돌하고 있는 필리핀의 중국산 수입도 11%나 급증했다.

동남아 국가들은 중국의 보복 조치를 우려하면서 수입 규제 강도를 완화하는 움직임도 보이고 있다. 인도네시아는 당초 중국산 섬유제품 등에 세이프가드와 반덤핑 관세를 이중으로 부과해 세율을 100~200% 인상할 의향을 밝혔지만, 결국 대상을 중국산으로 특정하지 않았고, 세율도 인하했다.

인도네시아 정부 관계자는 "중국을 과도하게 자극하면 투자 유치 등 다른 분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말했다.

중국은 지난해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아세안) 전체 교역액의 약 20%를 차지하는 역외 최대 교역국이고, 인도네시아 등은 중국에 에너지 자원과 전기제품을 수출하고 있어 중국이 보복관세나 금수 조치를 취하면 수출 산업이 타격을 입게 된다고 닛케이는 설명했다.
하만주 워싱턴 특파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

댓글 작성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