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분은 위성정당 창당에 대한 반대지만 실은 비례대표 의석수 배정을 둘러싼 밥그릇 싸움이 결국 다른 배를 타는 배경으로 분석된다. 민주당 주도의 비례연합정당에 참여하는 것보다 독자적으로 비례대표 후보를 내는 게 의석수 확보에 유리하다는 계산이 깔려있다는 것이다. 실제 녹색정의당의 전신인 정의당은 4년 전 21대 총선 때도 독자 노선을 걸었다. 당시 정의당은 정당투표에서 9.67%를 얻어 미래한국당 33.84%, 더불어시민당 33.35%에 이어 3위를 차지하며 가능성을 보였다. 하지만 거대양당의 위성정당에 밀려 비례 의석수는 5석에 그쳤다.
녹색정의당의 불참선언으로 이번 총선에서 진보정당과 시민사회 세력을 포용하겠다는 민주당의 구상에 차질이 불가피해졌다. 좌파 진영에서 민주당을 제외하고 가장 큰 세력인 녹색정의당이 위성정당의 문제점을 들어 불참 결정을 하면서, 민주당으로서는 위성정당 창당의 실리와 명분을 모두 잃을 위기에 빠졌다. 다만 야권의 총선 승리를 위해 민주당과 지역구 후보 단일화 길은 열어둔다는 계획이다. 심상정 의원 지역구인 경기 고양갑을 비롯해 녹색정의당 후보가 당선 가능성이 있는 지역에선 민주당 등과 경선을 통해 후보 단일화를 하겠다는 것으로 읽힌다. 이러한 명분 잃은 야권 위성정당들의 이합집산에 대해 유권자들이 어떤 냉엄한 심판을 가할지는 두고 볼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