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5월 부산에서 20대 또래 여성을 무참히 살해한 뒤 시신을 유기한 정유정 사건은 이런 고립·운둔형 청년 문제의 전형적인 사례다. 정유정은 고교 졸업 이후 무직으로 지냈으며, 가까운 친구도 많지 않은 등 교우 관계가 거의 없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17일 신림의 한 공원 둘레길에서 젊은 여성을 성폭행하고 살해한 최윤종 또한 자택과 PC방을 오가며 은둔생활을 해왔다.
이처럼 최근 잇따라 발생하는 흉악범죄자에게는 유사한 공통점이 발견된다. 사건의 참상과 직접적 원인은 제각각이지만 피의자들은 '은둔형 외톨이'라는 점이다. 은둔형 외톨이가 모두 범죄를 저지르는 것은 아니지만 고립과 사회에 대한 불만이 묻지마 범죄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시사하는 대목이다.
서울시에 따르면 서울 청년(만19~39세) 중 고립·은둔 청년은 4.5%(고립 3.3%, 은둔 1.2%)로 최대 12만9000명이 고립·은둔 상태로 추정되고 있다. 전국 청년(만19~39세 기준) 대상으로 범위를 넓힐 경우, 국내의 고립·은둔청년은 약 61만 명에 이를 것으로 나타난다.
이들 중 고립·은둔 생활에서 벗어나고 싶다고 느낀 적이 있는지 여부에 대해 10명 중 5명(55.7%) 이상이 '그렇다'고 응답했으며 10명 중 4명(43%) 이상은 실제 벗어나기 위한 시도를 해 본 것으로 확인됐다. 꽤나 긍정적이다. 고립·은둔청년에게 필요한 지원방안으로 '경제적 지원(57.2%)'이 가장 높았고 취미, 운동 등의 활동(44.7%), 일자리나 공부 기회(42.0%), 심리상담(36.8%) 순이다.
그러나 이 수치는 표본 조사의 추정치일 뿐 자발적으로 고립·은둔을 선택한 부분이기에 전수조사 후 집계된 정확한 수치는 아니다. 고립·은둔 청년에 대한 내밀한 조사와 사회적 안전망이 필요한 시점이다. 꽁꽁 닫힌 그들의 방문을 지방자치단체가 직접 문을 두드리고 열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