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사드 배치 ‘경북 성주’ 공식발표…“주민들, 군의 충정 이해해달라”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files.asiatoday.co.kr/kn/view.php?key=20160713001455188

글자크기

닫기

최태범 기자

승인 : 2016. 07. 13. 15:00

"북한 핵·미사일 위협, 가장 큰 피해자 우리나라와 국민"
"한미동맹 군사력 방어능력, 획기적으로 강화하게 될 것"
clip20160713143047
/사진=연합뉴스
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가 배치될 지역으로 경북 성주가 최종 결정됐다. 군사적 효용성은 물론, 주민 안전과 중국 반발 등까지 두루 고려한 조치로 풀이된다.

국방부는 13일 브리핑을 통해 “한·미 공동실무단은 사드의 군사적 효용성을 극대화하고 지역주민의 안전을 보장하면서 건강과 환경에 영향이 없는 최적의 배치 부지로 경상북도 성주지역을 건의했고, 이에 대해 양국 국방부 장관이 승인했다”고 전했다.

국방부는 “북한의 증대되는 핵과 미사일 위협은 우리에게 국가와 국민의 생존과 직결되는 문제이며 북한이 도발할 경우 가장 큰 피해자는 바로 우리나라와 우리 국민”이라고 했다.

이어 “주한미군의 사드 체계를 성주 지역에서 운용하게 되면 북한의 핵과 미사일 위협으로부터 대한민국 전체의 2분의 1, 3분의 2 지역에 살고 있는 우리 국민의 안전을 더 굳건히 지킬 수 있다”고 했다.
또 “원자력 발전소, 저유시설 등과 같은 국가적으로 중요한 시설과 한·미동맹의 군사력을 방어할 수 있는 능력과 태세를 획기적으로 강화하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우리 군은 국민의 안전을 보장하고 국가 안위를 지키는 조치보다 더 중요한 가치는 없다고 인식하고 있다”며 “우리 국민과 성주지역 주민 여러분들께서 이러한 우리 군의 충정을 이해해주시고 지원해주시기를 간곡히 당부 드린다”고 했다.

한·미 군 당국은 지난 3월부터 공동실무단을 구성해 사드배치 부지를 물색해 온 끝에 경북 성주에 배치한다고 최종 결정했다.

성주에 사드가 배치되면 사드의 최대요격거리(200㎞)를 고려할 때 미군기지가 있는 평택과 군산, 육·해·공군본부가 있는 충남 계룡대, 강원도 강릉 인근까지 북한 미사일을 커버할 수 있게 된다.

또 후방으로는 부산에서 시작되는 영남 지역 주요 도로가 유사시 부산항으로 들어오는 미군 증원전력의 루트인 만큼, 성주의 사드 포대는 미 증원군의 안전을 담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해발 400m 고지에 있는 성산포대는 병력 170여명과 대공유도무기인 호크가 여러 대 배치돼 있다. 성주읍과 1.5㎞ 떨어져 있으며, 인근 성산리에는 1388 가구, 2800여명이 거주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성주에 사드를 배치할 경우 수도권 방어에 취약하다는 점이 최대 단점으로 꼽히는 가운데 한·미는 신형 패트리엇(PAC-3) 미사일을 증강·재배치해 수도권 방어에 활용하기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미는 최대한 신속하게 사드 기지 건설에 착수해 늦어도 내년 말에는 한반도에서 사드를 실전 운용한다는 계획이다.

한편 성주에서는 이날 군민 5000여명이 사드 배치 반대 범군민궐기대회를 여는 등 거센 반발이 일고 있다. 김항곤 성주군수를 포함한 10여 명은 혈서를 쓰며 사드 배치 반대를 강력히 반대한다는 퍼포먼스를 벌이기도 했다.

또 사드 성주배치 반대 범군민비상대책위원회는 궐기대회가 끝난 뒤 군민 200여 명과 함께 버스 5대에 나눠 타고 국방부를 찾아가 혈서와 반대서명서를 전달할 계획이다.

국방부는 당초 황인무 국방부 차관을 비롯해 무조정실, 행정자치부, 합동참모본부 당국자들을 성주로 보내 사드배치에 관한 설명회를 열 예정이었으나 김 군수와 배재만 성주군의회 의장이 직접 국방부를 방문하기로 하면서 성주 방문 계획을 취소했다.

황 차관과 당국자들은 오후 4시 이들과 국방부 회의실에서 만나 정부의 사드 배치와 관련해 설명을 진행할 예정이다. 국방부 관계자는 “현지 주민들의 요구 사항을 경청하고 사드가 건강과 환경에 영향이 없는 안전한 무기체계임을 설명하는 자리가 될 것”이라고 했다.
최태범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

댓글 작성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