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공공기관포럼]한수원, SMR 개발 드라이브… 글로벌 청정에너지로 키운다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files.asiatoday.co.kr/kn/view.php?key=20241104010000908

글자크기

닫기

장예림 기자

승인 : 2024. 11. 03. 18:01

대형 원전 4분의 1수준으로 소형화
안전성·경제성·유연성 충분히 확보
2030년대 글로벌 산업 선도 자신감
[포토]SMR 원자력 기술혁신의 미래에 대해 발표하는 최광식 부장
최광식 한국수력원자력 SMR사업실 기술전략부장이 SMR 원자력 기술혁신의 미래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박성일 기자 rnopark99@
한국수력원자력이 오는 2030년대에 우리나라 최초 소형모듈원자로(SMR) 준공을 위한 SMR 기술 개발에 속도를 높인다. 특히 안전성·경제성·유연성 등 3가지 강점을 확보해 글로벌 탄소중립 실현의 핵심 청정에너지 수단으로 자리매김하겠다는 목표다.

3일 한수원에 따르면 한수원을 주축으로 한 팀 코리아는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전기본) 실무안에 담긴 '2036년 SMR 준공'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오는 2025년 '혁신형 SMR(i-SMR)'의 표준설계를 완료할 계획이다. 3년 뒤인 2038년에는 표준설계 인허가를 획득할 예정이다. 정부는 제11차 전기본 실무안에서 2035~2036년 0.7GW 규모의 SMR을 건설하겠다고 밝힌바 있다.

SMR은 대형 원전을 작은 크기로 줄인 소형 원전을 말한다. 대형 원전(1000~1400㎿·메가와트)에 있던 원자로와 증기 발생기 등 주요 장치들이 하나로 통합되면서 크기가 300㎿ 안팎 수준으로 소형화된다. 사고가 일어날 확률도 10억년에 한 번꼴로 비교적 작다. 이 때문에 차세대 원전으로 불린다. 현재 미국·러시아·중국 등 전 세계에서 90여 개 SMR 노형이 개발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뉴스케일·테라파워 등이다.

SMR이 주목받고 있는 이유는 최근 기후변화·에너지안보·전기수요 폭증 등 영향으로 전 세계적으로 원전으로의 복귀가 가속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 지난해 제28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8)는 2050년까지 원자력 발전용량이 3배 확대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국제에너지기구(IEA)는 2025년 전 세계 원전 발전 규모가 사상 최대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한다. IEA는 원자력 발전의 전력 생산량이 올해와 내년 모두 각각 3% 증가해 내년에는 2915TWh(테라와트시)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다. 이는 이전 사상 최대 기록이던 2021년의 2809TWh를 넘어서는 수준이다.
한수원은 i-SMR을 안전성·경제성·유연성 등 3가지 특징에 집중해 개발 중이다. 이 중에서 '안전성'에 가장 힘을 기울이고 있다. 지난 1일 서울 중구 더 플라자 호텔에서 열린 '제2회 공공기관 포럼'에서 최광식 한수원 SMR사업실 기술전략부장은 "안전성, 경제성, 유연성이 충분히 확보된 원자로 'SMR'을 개발 중"이라며 "i-SMR은 일체형 원자로 설계를 통해 냉각재 유출사고 가능성을 배제하고 있다. 또한 완전 피동안전계통 설계를 적용해 자연적인 냉각수 순환 구동력을 확보하면서 대형 원전보다 1만배 이상 안전성을 향상시키려 한다"고 설명했다.

한수원 측은 기술 개발 계획이 순조롭게 진행되면 세계 SMR시장에 진출해 2030년대 초반 첫 실증로 건설을 완료하는 성과를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아울러 한수원은 '넷제로 플랫폼'이라는 모델을 적용해 국내 시장을 넘어 해외 시장 수출도 노린다. 최 부장은 "2030년대에 우리나라 최초의 SMR을 건설할 것"이라며 "우리나라 원전 산업은 서플라이 체인이 잘돼 있어서 2030년대에 들어서면 SMR 선두주자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장예림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

댓글 작성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