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 대통령은 10일 라오스에서 열린 아세안(ASEAN, 동아시아국가연합) 정상회의에 참석해 한-아세안 관계를 '포괄적전략적동반자관계(CSP·Comprehensive Strategic Partnership)'로 격상하고,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와 첫 정상회담을 통해 셔틀 외교를 이어가자는 데 뜻을 모았다.
특히 윤 대통령은 이번 아세안 정상회의 참석을 계기로 아세안과 파트너십 최고 단계인 CSP를 수립함에 따라 정치, 안보, 경제 등 양측의 협력이 전방위적으로 공고해질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지난 1989년 한-아세안이 부분대화 관계를 수립한 후 35년 만에 최상위급 파트너십을 맺었다.
아세안과 CSP를 수립한 나라는 11개의 대화 상대국(한국, 미국, 중국, 일본, 인도, 호주, 러시아, 캐나다, 뉴질랜드, EU, 영국) 중 미국, 중국, 일본, 인도, 호주 등 5개국이었다. 이번 정상회의를 계기로 한국이 포함돼 총 6개국가 아세안과 CSP를 맺었다.
아세안과의 CSP 수립은 윤석열 정부가 지난 2022년 발표한 우리나라 최초의 독자 지역전략 '인도-태평양 전략'과 아세안 특화 협력 전략 '한-아세안 연대구상(KASI)'과 시너지를 낼 것으로 전망된다.
|
윤 대통령은 이번 순방에서 아세안 회원국인 필리핀과도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수립했다. 싱가포르와는 내년에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수립하기로 합의했다.
윤 대통령이 한-아세안 정상회의, 동아시아 정상회의를 통해 북한 핵 위협, 북·러 군사협력, 중국의 남중국해 군사 활동 등에 대한 비판 목소리를 높이며 이를 견제하기 위한 국제사회의 협력을 강조한 것도 성과다.
윤 대통령은 이날 동아시아 정상회의에서 "자유롭고 평화로우며 번영하는 인도-태평양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북한의 비핵화가 반드시 이뤄져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국제사회가 북한의 핵 개발과 도발을 결코 용인하지 않을 것임을 분명히 보여주어야 할 것 "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러시아와 북한의 불법적 군사 협력은 우크라이나 전쟁을 장기화시키고, 유엔 안보리결의에 대한 정면 도전"이라며 "규범 기반 국제질서를 지켜내기 위한 연대를 한층 강화할 필요 있다"고 덧붙였다.
또 "남중국해에서 유엔해양법협약을 포함한 국제법 원칙에 따라 항행과 비행의 자유가 보장되어야 할 것"이라고 하며 중국을 견제했다.
새로 취임한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와 양자회담을 통해 일본과의 관계 개선 의지를 재확인 한 것도 성과로 꼽힌다.
두 정상은 내년 수교 60주년을 앞두고 셔틀외교를 활발히 진행하면서 양국 간 협력 관계를 이어가기로 했다.
|
다만 과거사 문제 등 구체적인 현안은 이번 한일회담에서 논의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아세안 정상회의 참석에 앞서 이뤄진 필리핀(6∼7일)과 싱가포르(7~(일) 국빈방문에서는 우리 기업의 동남아 진출 지원 교두보를 마련한 것으로 평가된다.
한-필리핀 정상회담에서는 양국이 '전략적동반자관계'를 수립하고 '바탄 원전 재개 타당성 조사 양해각서(MOU)'를 체결해 중동, 유럽에 이어 동남아 원전 시장에 우리 기업이 진출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했다.
싱가포르와는 '공급망파트너십 약정'을 체결, 공급망 교란 발생 시 5일 내 긴급회의를 개최해 공동으로 대응하는 '공급망 위기대응 시스템'을 구축하기로 했다.
국가 간 공급망 파트너십 약정을 체결된 것은 이번이 세계 최초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기자들과 만나 "공급망이 물류고, 싱가포르는 세계 물류의 핵심이고, 우리도 동북아 대표적 물류 중심지"라며 "지금은 공급망이 두 나라의 관계를 규정하는 데 굉장히 중요한 요소"라고 설명했다.
이 외에 윤 대통령이 라오스, 태국, 호주, 베트남 정상과 회담을 통해 양국간 협력을 공고히 한 점도 이번 동남아시아 순방의 성과로 평가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