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 1%대·美 빅컷 등 긍정 기조
집값 상승·가계 부채 증가가 변수
|
◇3년째 갇힌 '긴축의 터널'…물가 믿고 빠져나오나
6일 금융권에 따르면 한은 금통위는 오는 11일 통화정책방향 회의를 열고 기준금리 수준을 결정한다. 한은은 앞서 지난 8월 22일 기준금리를 13회 연속 연 3.5% 수준에서 동결했다. 이번 금통위에서 기준금리 인하가 이뤄지면 2021년 8월 0.25%포인트 인상과 함께 진입한 '긴축의 터널'에서 38개월 만에 빠져나오게 된다.
무엇보다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핵심 지표인 물가가 안정세를 찾으며 금리 인하 기대감을 키우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1.6%로 3년 7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한은의 물가 목표인 2.0%를 달성한 만큼 금리 인하 여건은 충족된 상황이다.
이창용 한은 총재도 지난달 30일 기획재정부 세종청사에서 "통화정책의 의무가 물가안정인데, 우리나라가 다른 선진국보다 일찍 2% 물가 상승률을 달성했다"고 말했고, 김웅 부총재보도 지난 2일 물가상황점검회의에서 "물가안정의 기반이 다져지고 있다"고 평가했다.
◇'집값·가계부채 다시 뛰면 어쩌지'…막판 검토가 변수
기준금리 인하의 길로 들어서는데 최대 걸림돌로 작용했던 가계부채 증가세도 한풀 꺾이고 있다.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9월 가계대출은 한 달 사이 5조6029억원 늘어나며 8월(8조9115억원)에 비해 증가폭이 둔화됐다. 문제는 가계부채 증가 불씨가 완전히 잡히지 않은 상황에서 기준금리를 인하하면, 자칫 수도권 집값이나 가계대출 불길이 되살아 날 수 있다는 점이다. 지난달 가계대출 증가세가 주춤한 것도 수요가 줄었다기 보다는 금융당국의 대출규제 강화 지침에 따라 은행들이 대출창구 문턱을 높인 영향으로 분석됐다.
결국 최근 가계대출 추이만으로는 '영끌·빚투' 현상이 사그라졌다고 확신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한은 역시 '9월 금융안정 상황 보고서'에서 "금융 여건 완화는 주택가격 상승과 가계부채 누증 등의 부정적 영향이 커질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고 짚었다.
전문가들은 물가 안정세와 함께 한·미 금리 차가 1.5%포인트로 좁혀진 만큼 이달 한은이 금리 인하를 단행할 것이라고 보고 있다. 조용구 신영증권 연구원은 "물가안정 기조가 강화됐고, 미국 연방준비제도도 연내 두 차례 추가 인하가 확실시되는 상황"이라며 "한은이 금리인하를 더 지연시킬 의지도 없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