댐-보-하굿둑 연계 운영, 야적 퇴비 수거 등 종합대책 이행
퇴비 수거의 실효성 비판도
|
12일 환경부에 따르면 낙동강 수계의 '경계' 발령일 수는 올해 14일로 지난해 206일의 7% 수준이었다.
전국 단위로 보면 6월 8일부터 11월 30일까지의 조류경보일 수는 지난해 743일에서 올해 476일로 36% 줄었다.
조류경보는 한강·낙동강·금강·영산강의 상수원 28곳과 한강의 친수활동 구간 1곳 총 29곳의 52개 지점에서 일정 수준 이상의 조류가 발생할 경우 상수원을 보호하는 등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발령한다. 조류경보일 수는 경보제를 운영하는 52개 지점의 모든 경보 발령일 수를 합한 것이다.
상수원 구간 기준 가장 낮은 '관심' 경보단계 발령 조건은 '2회 연속 채취 시 1㎖당 남조류 세포 수가 1000 세포 이상 1만 세포 미만인 경우'다. '경계'는 남조류 세포 수가 1만 세포 이상, 100만 세포 미만일 때 발령된다.
올해 낙동강 강우량은 1491㎜로 전년(668㎜)보다 2배 이상 증가했다. 환경부 관계자는 "강우량 증가는 녹조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면서도 "평균 기온의 경우 낙동강에선 0.2도, 전국 기준 0.3도가 올라 녹조가 증가할 우려도 있었다"고 설명했다. 조사 기간 동안 낙동강 유역 평균 온도는 15.3도에서 15.5도, 전국은 15도에서 15.3도로 증가했다.
환경부는 이날 "조류경보일 수가 전년 대비 감소한 것을 보았을 때, 오염원 유입을 저감하는 사전예방과 댐-보-하굿둑 연계운영 및 녹조제거선 도입 등의 사후대응을 포함한 녹조종합대책이 일정 부분 효과가 있었던 것으로 볼 수 있다"고 밝혔다.
녹조종합대책은 댐-보-하굿둑 연계 운영, 녹조제거 장비 활용, 야적 퇴비 제거 등으로 구성됐다.
환경부는 녹조 발생기간에 대형·소형녹조제거선, 수면포기기 등 녹조제거 장비 등을 가동하고, 지난 5~6월 낙동강 주요 취수원인 물금매리 지점과 칠서 지점의 녹조 대응을 위해 댐·보·하굿둑을 연계 운영했다고 설명했다. 낙동강 2개 지점의 경우 남강댐, 창녕함안보, 낙동강하굿둑 간 연계 운영으로 하천 유량이 조절됐다.
연계 운영 결과에 따른 1mL당 남조류 세포수를 비교해보면, 물금매리 지점에서 지난 5월 22일 6000 세포에서 5월 30일 100 세포로 줄었는데 당시 누적 강우량은 5월 27∼29일 73㎜로 그쳤다. 칠서 지점의 경우 1㎖당 남조류 세포수가 5월 30일 2600 세포에서 6월 5일 1800 세포로 줄었다. 해당 지점의 6월 3~5일 누적 강우량은 0㎜였다.
또 환경부는 낙동강 하천이나 제방 등 공유지에 야적된 퇴비 640개를 모두 조사해 10월 말까지 518개의 퇴비를 수거하고, 수거하지 못한 퇴비에 대해선 덮개를 전부 설치했다고 설명했다. 퇴비에 들어있는 질소와 인은 조류 번성의 영양분으로, 이 같은 비점오염원은 하천에 흘러들어가 조류 번성에 용이한 환경이 조성된다.
다만 퇴비 수거는 녹조 감소에 실질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보여주기식 대처였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김해동 계명대 지구환경과 교수는 "조류 발생의 3대 요인은 질소·인의 양, 일사량, 유속인데 우리나라 강에는 주변 농경지 비료 등으로 인해 T-N(수중 질소의 양), T-P(수중 인의 양)이 과다하다"면서도 "주변 퇴비 수거로 질소와 인의 하천 유입량을 줄이기는 부족하다"고 말했다.
퇴비 수거 전후로 T-N, T-P 등을 분석한 결과에 대해 환경부 관계자는 "하천이 방대해 정확한 차이가 본류에서 나오지 않았다"고 밝혔다.
한편 환경부는 내년 녹조 발생에 대비해 적극적인 정책을 마련한다. 야적 퇴비 수거 작업을 낙동강뿐만 아니라 금강, 한강, 영산강의 4대강 수계로 확대하고, 대형녹조제거선 16대, 소형녹조제거선 3대 등 녹조 저감 설비를 추가로 투입할 계획이다. 각 유역 환경청마다 녹조가 다량 발생하는 지역을 중점관리지역으로 선정해 지역별 대책도 추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