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유럽, 평양 대사관 대폭 축소·강경입장 전환에 북한의 대응책은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files.asiatoday.co.kr/kn/view.php?key=20210408010004532

글자크기

닫기

하만주 워싱턴 특파원

승인 : 2021. 04. 08. 08:46

닛케이 "유럽, 평양주재 대사관 대폭 축소, 대북 강경입장"
"평양 근무자 거의 없고, 외교활동 정지"
"북한, 직접 유럽 정치가 접촉...강경 유럽 외교당국 견제 목적"
김정일 생일 '광명성절' 맞이한 북한
유럽 국가들이 평양주재 대사관 인원 및 활동을 대폭 축소하고, 밀수·미사일 개발 경계를 강화하는 등 대북정책에서 강경 입장을 명확히 하고 있다고 니혼게이자이(日本經濟)신문(닛케이) 8일 보도했다. 사진은 북한이 지난 2월 16일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생일(광명성절)을 맞아 주민들이 명절을 경축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17일 보도한 것./사진=평양 조선중앙통신=연합뉴스
유럽 국가들이 평양주재 대사관 인원 및 활동을 대폭 축소하고, 밀수·미사일 개발 경계를 강화하는 등 대북정책에서 강경 입장을 명확히 하고 있다고 니혼게이자이(日本經濟)신문(닛케이) 8일 보도했다.

닛케이는 이같이 전하고 미국과 함께 민주주의를 지탱해왔던 유럽 국가들이 대중국 정책뿐 아니라 강권국이 늘어나고 있는 아시아 외교를 전반적으로 재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 닛케이 “유럽, 평양주재 대사관 대폭 축소, 대북 강경 입장...아시아 외교 중요성 비약성 커져”

유럽 주요국이 아시아에 해군을 보내는 움직임이 잇따르고 있는데 그 주안점은 중국 견제이지만 실제는 북한도 주시하는 것이라고 닛케이는 설명했다.
실제 프랑스 프리깃함(구축함과 경순양함 사이 크기) 플로레알호가 지난달 일본에 파견된 이유와 관련, 주일 프랑스대사관은 북한의 제재 회피에 대한 경계·감시 활동이라고 밝혔다.

영국은 지난달 중순 외교·안전보장 신 지침 ‘종합 리뷰’에서 아시아로의 변화(shift)를 내세웠고,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는 연차보고서에서 ‘중국의 대두’를 지적하는 등 유럽에서 아시아 외교의 중요성이 비약적으로 커지고 있다고 닛케이는 전했다.

북한은 이전 유럽에서 사치품이나 외화를 조달했고, 유럽 국가 절반은 묵인해왔지만 북한이 2017년 핵실험과 미사일 시험발사를 단계적으로 늘리는 방침으로 전환한 후 포위망을 좁혀왔다.

폴란드는 북한 노동자 수용을 중단했고, 루마니아 외무부는 대변인은 닛케이에 “유엔의 대북제재를 엄격히 지키겠다”고 말했다.

독일 정부는 지난해 베를린주재 북한대사관 부지에서 영업 중이던 ‘시티 호스텔’의 영업 중지 명령을 내렸다. 독일 정보기관과 연방헌법재판소는 북한이 유럽에서 핵·미사일 부품을 사들이고 있다며 경계를 강화하고 있다고 닛케이는 전했다.

지난 2월 25일(현지시간) 러시아 스푸트니크통신과 미국 북한전문매체 NK뉴스 등에 따르면 러시아 외교부는 평양 주재 러시아 대사관 직원 8명과 가족이 이날 두만강 철교로 양국 간 국경을 넘으면서 아무도 도와주는 사람이 없어 짐을 실은 철길수레를 직접 밀었다고 밝혔다. 25일 북한에서 귀국하고자 직접 철길수레를 밀고 있는 러시아 외교관들./사진=러시아 외교부 텔레그램 캡처=연합뉴스
◇ “평양 근무자 거의 없고, 외교 활동 정지...평양 외국대사 9명·대사 대리 4명...독일·프랑스 등 12곳 공관 폐쇄”

아울러 유럽 각국이 평양에 대사관을 두고 있으나 폴란드 외무부 대변인이 ‘외교관은 전원 철수했다’고 했고, 스웨덴 외무부 대변인은 ‘대사가 스톡홀름에서 근무하고 있다’고 하는 등 지금은 평양 근무자가 거의 없는 상태이며 평양에서의 외교 활동은 거의 정지됐다고 이 신문은 설명했다.

실제 주북한 러시아 대사관은 지난 1일 페이스북 글에서, “현재 평양에는 대사 9명과 대사 대리 4명이 남아있으며, 영국과 독일·프랑스 등 공관 12곳이 폐쇄됐다”고 밝혔다. 아울러 “국제기구 직원들도 떠나 평양에 있는 외국인은 290명 이하”라면서 “의약품을 포함한 생필품의 심각한 부족 등으로 인해 외국인들의 출국이 계속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 같은 평양의 외교 공동화 현상은 북한 당국이 지난해 2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을 우려해 각국 대사관에 ‘외교관이라고 해도 이동을 제한한다’는 내용의 서한을 보낸 것으로 시작됐다고 한다.

이는 외교관 이동의 자유를 규정한 빈조약 정신에 반하는 것이고, 사실상 연금 상태가 된 외교관의 업무에 지장을 초래할 뿐 아니라 대사관 직원에게 건강상 문제가 생겨도 의료팀을 평양으로 보낼 수 없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전례를 만들면 비슷한 것을 요구하는 강권국이 잇따른 우려도 있어 항의의 의미도 담아 지난해 말까지 유럽 외교관들이 평양을 떠났다고 닛케이는 전했다.

한 유럽 정부 고위관리는 “인권을 말하는 유럽이 형편없는 노동환경에서 외교관을 일하게 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

베를린 북한대사관
독일 베를린주재 북한대사관 부지에서 영업하다가 지난해 폐업한 ‘시티 호스텔’./사진=연합뉴스
◇ “북한, 외교관 평양 떠나자 직접 유럽 정치가 접촉...강경 유럽 외교당국 견제 목적”

이에 북한은 정식 외교 경로를 피해 직접 유럽 정치가를 접촉해왔고, 코로나19로 평양 방문이 어려워진 지금은 화상회의 등으로 유럽 정계와 북한의 접촉이 지속되고 있다고 닛케이는 설명했다.

이 같은 북한 활동의 목적은 유럽 정계에 직접 접근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 강경 입장으로 기운 유럽 외교당국을 견제하려는 것이라고 이 신문은 해석했다.

현 상황에서도 유럽 각국과 북한과의 접촉이 완전히 차단된 것은 아니다. 유럽주재 북한대사관관 유럽 각국의 외교부가 접점이라고 한다.

영국 외무부 대변인은 닛케이에 “외교 협상이야말로 한반도 비핵화에 적절한 수단”이라고 말했다. 유럽 각국은 수집한 북한 정보를 EU 주요 기관이 모이는 벨기에 브뤼셀에 모아 정기적으로 의견 교환을 하고 있으며 EU에서 탈퇴한 영국도 가끔 정보 교환의 장에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닛케이는 전했다.

영국·독일·스웨덴 3국은 구동독이 평양에 가지고 있던 거대한 건물을 대사관으로 공동 이용하고 있다.
하만주 워싱턴 특파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

댓글 작성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