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은 반색했다. 21일 교도통신에 따르면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는 “북한에 대한 압력을 강화하는 것”이라면서 “환영한다”고 말했다. 그는 지난 6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의 회담에서도 북한의 테러지원국 재지정을 강력히 요구한 바 있다.
중국은 신중한 자세를 보였다. 중국 관영 CCTV는 미국의 북한 테러지원국 재지정을 주요 뉴스로 보도하면서도 “여전히 외교를 희망한다”며 대화를 통한 북핵 위기의 해결을 강조한 렉스 틸러슨 미 국무장관의 발언을 주목해 미국의 대북조치가 강경 일변도로는 흐르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중국 경제전문 매체 재신망은 이번 조치가 북·미 간 긴장관계를 더욱 고조시킬 것으로 보인다며 우려를 표했다.
미 의회는 환영하는 분위기다. 에드 로이스(공화·캘리포니아) 하원 외교위원장은 성명을 내고 “핵과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개발을 강행하고 국제 안보를 위협하는 북한에 최대의 압박 작전과 외교·경제적 압박을 가하는 데 있어 중대한 발걸음이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상원 외교위원회 코리 가드너(공화·콜로라도) 동아태 소위원장과 마코 루비오(공화·플로리다) 상원의원 등 10명 가까운 의원도 잇따라 환영 성명을 발표했다.
미국 전문가들의 분석은 엇갈렸다. 대니얼 러셀 전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차관보는 “상징성 있는 강력한 조치”라고 평가했다. 그는 이날 월스트리트저널(WSJ) 인터뷰에서 ”미국이 나중에 협상할 때 테러지원국 지정을 유인책으로 활용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반면 1994년 북핵 위기를 일시 봉합한 북미 제네바 합의 때 미국 측 수석대표를 지낸 로버트 갈루치는 이번 조치가 북미 대화의 돌파구를 여는 데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어떻게 도움이 될지 모르겠다. 중대한 오판일지도 모른다“고 우려했다.
미 싱크탱크 국가이익센터(CFTNI)의 해리 카자니스 국방연구국장은 로이터통신에 “트럼프 행정부의 이런 행동은 아무도 다른 한 쪽에 출구를 열어주지 않는 ‘벼랑 끝 전술’의 위험성을 더 강화시킬 뿐”이라며 역효과를 염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