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불통’ 의협, 의료계 내부 균열…대정부 요구안 발표도 미뤄져

‘불통’ 의협, 의료계 내부 균열…대정부 요구안 발표도 미뤄져

기사승인 2024. 06. 14. 17:45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뇌전증 교수·분만병의원협·아동병원협 휴진 불참 선언
"환자에 고통 주느니 삭발, 단식으로 대항해야"
박단 대전협 회장과 의협 간 갈등 모습도
clip20240614164334
의협 정기대의원 총회 참석한 박단 대전협 비대위원장./연합
의정 갈등이 진화되지 않는 가운데 의료계 내부도 균열 조짐이 보인다. 파업 여부를 두고 각 단체마다 의견이 갈리는 데다,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가 대한의사협의(의협)의 13일 연석기자회견에 불참하면서 의협과 전공의 간 갈등 모습까지 보이고 있다. 당초 이날 오전 예정이었던 의협의 대정부 요구안 발표도 미뤄지고 있다.

14일 의료계에 따르면 오는 18일 의협 집단 휴진 계획에 불참하겠다는 의사단체들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 분만병의원협회와 대한아동병원협회에 이어, 대학병원의 뇌전증 전문 교수들도 이에 동참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표명했다.

이날 뇌전증지원병원 협의체는 "뇌전증은 치료를 중단할 경우 신체 손상과 사망 위험이 크게 증가하는 질환"이라며 "약물 투여 중단은 절대 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의사들이 환자들을 겁주고 위기에 빠뜨리는 행동을 삼가야 한다"며 "잘못이 없는 중증 환자들에게 피해와 고통을 주지 말아야 한다. 차라리 삭발과 단식을 통해 정부에 대항하는 것이 맞다"고 덧붙였다.

분만병의원협회도 진료를 계속 유지하겠다고 밝혔고, 대한아동병원협회도 "의협의 투쟁에 공감하지만 환자를 두고 떠나기 어렵다"며 진료를 유지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대한마취통증의학회 역시 필수적인 수술에 필요한 인력은 병원에 남아 진료를 지원하겠다는 입장을 표명했다.

이러한 가운데 전날 박단 대전협 비상대책위원장은 개인 SNS에 이번 의협 결정과 관련 합의한 적 없다며 임현택 회장을 공개 비난하는 글을 올렸다. 그는 "단일 대화 창구? 통일된 요구안? 임현택 회장과 합의한 적 없다"며 "범의료계 대책위원회 안 간다. 대전협의 요구안은 변함없다"고 주장했다.

앞서 대전협 비대위는 대정부 7대 요구안으로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와 의대 정원 2000명 증원 전면 백지화 △과학적인 의사 수급 추계를 위한 기구 설치 △수련병원의 전문의 채용 확대 △불가항력 의료사고에 대한 법적 부담 완화 대책 제시 △주 80시간 근무와 열악한 전공의 수련 환경 개선 △전공의 대상 행정명령 전면 철회와 사과 △의료법 내 업무개시명령 전면 폐지를 요구한 바 있다

의협은 구체적인 대정부 요구안을 이날 오전 공개할 예정이었으나 발표가 미뤄지고 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