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경찰 ‘순찰제도’ 수술대 오른다…로봇·드론 등 첨단 장비 활용

경찰 ‘순찰제도’ 수술대 오른다…로봇·드론 등 첨단 장비 활용

기사승인 2024. 06. 18. 15:10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경찰청, 순찰제도 개선방안 연구용역
기동순찰대도 출범 4개월 만에 평가
기동순찰대 순찰
경찰 기동순찰대 대원들이 지난 4월 16일 오후 서울 종로구 일대를 순찰하고 있다. /연합뉴스
전국 곳곳을 다니며 사전에 범죄를 예방하는 경찰의 핵심 업무인 '순찰제도'가 수술대에 오른다. 경찰청은 올해 출범한 기동순찰대를 포함해 그간 시행해온 다양한 순찰 활동을 재평가해 제도 개선에 나선다는 구상이다. 순찰 업무에 로봇이나 드론 등 첨단 장비를 활용하는 방안이 유력하게 검토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경찰청은 18일 "최근 '효과적인 순찰제도 운영을 위한 개선방안 연구'라는 제목의 연구 용역을 추진 중"이라며 "이번 연구용역은 탄력순찰, 지역안전순찰 등 그동안 시행해온 순찰 업무의 효과성을 분석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고 밝혔다.

경찰청 관계자는 "그간 여러 순찰제도를 운영했지만 실제 순찰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구체적인 순찰방식 및 전략에 대해선 최근 국내 실증연구 사례가 없는 실정"이라며 연구용역 추진 배경을 설명했다.

연구용역에는 주민이 원하는 장소를 경찰에 요청해 해당 장소를 순찰하는 '탄력순찰', 주민 접점을 확대해 체감안전을 높이는 '지역안전순찰' 등 전반적인 순찰 업무가 포함됐다.

특히 지난해 서울 신림역·분당 흉기난동 사건 등 잇단 이상동기범죄를 막기 위한 취지로 올해 2월 신설된 기동순찰대의 업무 효과성도 출범 4개월 만에 평가받게 됐다.

기동순찰대는 도보 및 거점 위주 순찰을 통해 범죄 취약 요소와 주민 안전에 위해가 되는 요인을 직접 발견하고, 즉시 조치하는 '문제 해결적 순찰'을 실시하고 있다. 또 순찰 과정에서 교통법규 위반 등 기초질서 위반행위 단속과 수배자 검거, 형사사건 인지 등의 업무도 병행 중이다.

'관악 둘레길에 경찰 드론이 떴다!'
서울 관악경찰서가 지난 17일 서울 관악구 목골산 둘레길에서 서울경찰청 최초로 범죄예방을 위한 드론 비행 순찰을 시연하고 있다. /연합뉴스
아울러 경찰청은 인구 감소 등으로 치안 인력 확충이 한계에 도달하는 시나리오를 대비해 로봇, 드론을 활용한 순찰 업무의 효과성도 이번 연구용역을 통해 제시받는다는 방침이다.

경찰청은 현재 '경찰 무인비행장치 운용규칙' 개정으로 순찰 업무에 드론을 투입해 시범 운영 중이나 관련 연구용역 등을 거쳐 문제점을 보완해 치안 현장에 투입한다는 구상이다. 다만 로봇의 경우 관련 지침과 규칙이 없어 시범운영도 부재한 상황이다.

경찰 관계자는 "지난 3월 규칙 개정에 따라 순찰 목적의 드론 운용이 가능해짐에 따라 현재 드론 기기를 시범 비행 중"이라며 "관련 지침·규칙 정비와 검토를 거쳐 드론 등을 본격 도입할 계획이나, 정확한 시기는 미정"이라고 밝혔다.

이어 이 관계자는 "순찰 방식의 변화는 현재 정해진 바는 없다"면서도 "연구용역 결과와 현장 의견 수렴 등 숙의과정을 거쳐 제도 개선 필요성 및 발전 방향 등을 심도 깊게 검토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