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사설] K-방산 위용 이어갈 한국형 사드 ‘엘샘’

[사설] K-방산 위용 이어갈 한국형 사드 ‘엘샘’

기사승인 2024. 05. 27. 18:24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한국형 사드(THAAD) '장거리 지대공 유도무기(L-SAM·엘샘)'가 최근 '전투용 적합 판정'을 받아 개발이 완료됐다고 한다. 엘샘은 우리 군(軍)이 독자 개발한 신형 미사일방어체계로 내년부터 양산에 들어가 2028년부터 실전 배치될 전망이다. 현재 경북 성주지역에 배치된 미국의 사드는 사거리 300㎞ 이상의 중단거리 탄도미사일로부터 경북지역의 군 병력과 장비, 핵심시설을 방어하고 있다. 북한은 600여 발의 스커드 중단거리 탄도미사일을 보유하고 있다.

우리 군은 엘샘을 실전 배치해 독자적으로 운용할 것이라고 한다. 이에 따라 우리 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의 다층화 및 다지역화, K방산의 세계 영역 확대 등의 효과가 기대된다. 현재까지 우리 군은 고도 40㎞ 이상의 탄도미사일 요격은 미군 사드에 의존해 왔는데 엘샘 개발로 두터운 방어막이 더 생기게 된다. 미국 사드 배치에 과민한 반응을 보였던 중국의 눈치를 보지 않고 우리의 판단으로 수도권과 중부권 등 주요 군사·인구밀집지역에 확대 배치할 수 있다.

엘샘은 민관합동 국산무기 개발시스템의 쾌거로, K방산의 새로운 기대주로 부상하고 있다. 엘샘은 국방과학연구소가 연구·개발을, 한화·LIG넥스원 등 국내 업체들이 레이더·유도장치·구동장치 등 시스템 개발과 제작을 맡았다. 엘샘 개발로 국제사회의 K방산에 대한 평가가 높아지고 'K방산'에 새로운 지평이 열릴 것이란 기대도 커지고 있다.

정부는 28~29일 모하메드 아랍에미리트(UAE) 대통령에게 엘샘을 선보일 것으로 알려졌다. 방식은 시험발사 참관 등이 거론된다. UAE는 2022년 중거리지대공유도무기체계(천궁Ⅱ)를 국산무기 단일계약 건으로는 역대 최대 규모인 약 4조1000억원에 도입한 바 있다. 지난 2월 사우디아라비아도 4조2000억원의 천궁II 구매계약을 체결했다. 현재 개발완료 단계인 엘샘에 대한 남다른 기대가 시험발사 참관을 요구한 배경으로 이해된다. '천궁II'에 대한 수출 문의와 구매계약이 개발완료 단계의 엘샘으로 자연스럽게 이어지길 바란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