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작년 해외투자 잔액 1244억 달러 ↑…미국 투자 증가폭 역대 2번째

작년 해외투자 잔액 1244억 달러 ↑…미국 투자 증가폭 역대 2번째

기사승인 2024. 06. 25. 12:00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지난해 우리나라 거주자의 해외투자액이 1244억 달러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대(對)미국 투자잔액이 1138억 달러 늘어났는데, 이는 역대 두 번째로 큰 증가폭이다.

한국은행이 25일 발표한 '2023년 지역별·통화별 국제투자대조표(잠정)'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한국 대외금융자산(거주자 대외투자) 잔액은 1조9116억 달러로 전년 말 대비 1244억 달러 증가했다.

준비자산(4201억 달러)은 운용 내역을 공개하지 않는 국제적 관례에 따라 지역별 국제투자대조표 편제 대상에서 제외했다.

지역별로는 미국에 대한 투자가 8046억 달러(비중 42.1%)로 가장 많았다. 이어 유럽연합(EU) 2528억 달러(13.2%), 동남아 2485억 달러(13.0%), 중국 1452억 달러(7.6%), 중남미 1205억 달러(6.3%) 순이었다.

전년 말에 비해 미국(+1138억 달러)에 대한 투자잔액이 크게 늘었다. 역대 두 번째로 큰 규모다. 대미 투자잔액이 늘어난 건 IRA 등의 영향으로 대기업의 미국 내 해외공장 투자 증가 등의 영향이다.

EU(+103억 달러)에 대한 투자잔액도 늘었다. 반면 중국(-91억 달러), 중동(-42억 달러), 동남아(-40억 달러) 등에 대한 투자 잔액은 줄었다.

외국인의 국내 투자에 해당하는 대외금융부채 잔액은 1조5214억 달러로 전년 말 대비 1116억 달러 늘었다.

지역별로는 미국이 3714억 달러(비중 24.4%)로 가장 많았고, 이어 동남아 3295억 달러(21.7%), EU 2460억 달러(16.2%) 순이었다. 전년 말 대비 국내 주가가 상승하면서 중동과 중국을 제외한 대부분 지역의 투자 잔액이 늘어났다.

지난해 말 우리나라의 대외금융자산(준비자산 제외) 을 통화별로 살펴보면 미국 달러화 표시 금융자산이 1조1315억 달러(비중 59.2%)로 가장 많았다.

이어 유로화 1857억 달러(9.7%), 중국 위안화 1086억 달러(5.7%) 순으로 나타났다.

전년 말에 비해 미 달러화(+978억 달러), 유로화(+101억 달러), 파운드화(+49억 달러)의 투자잔액이 늘었찌만 위안화(-71억 달러) 등은 감소했다.

지난해 말 기준 대외금융부채 잔액을 통화별로 보면 원화 표시 금융부채가 9993억 달러(비중 65.7%)로 가장 많았다. 이어 미 달러화 3927억 달러(25.8%), 유로화 441억 달러(2.9%) 순이었따.

전년 말 대비 국내 주가 상승 등으로 원화 표시 부채잔액이 1218억 달러 증가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