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가톨릭의대 교수도 무기한 휴진 유예···서울대 중단 이후 두 번째

가톨릭의대 교수도 무기한 휴진 유예···서울대 중단 이후 두 번째

기사승인 2024. 06. 25. 16:19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70% "휴진보다 진료 축소 형식"
환자 불편 줄여야 의견
휴진 철회 다른 대학·의협 확산 주목
남겨진 환자들<YONHAP NO-3335>
지난 23일 서울 시내의 한 대학병원 /사진=연합
서울대 의대 교수들이 무기한 휴진을 중단한 데 이어 '빅5' 병원 중 하나인 가톨릭의대 교수들도 무기한 휴진 유예를 결정했다.

가톨릭대 의과대학 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는 25일 회의를 열고 무기한 휴진을 당분간 유예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가톨릭의료원은 서울성모병원, 여의도성모병원, 의정부성모병원 등 산하 8개 병원이 있다.

비대위가 지난 21일부터 전날까지 설문 조사한 결과, 응답한 교수 가운데 70%는 휴진보다 경증 환자 진료를 줄이는 진료 축소 형식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답했다. 환자들 불편이나 두려움을 줄여야 한다는 입장이다.

다만 무기한 휴진 가능성도 열어뒀다. 비대위는 향후 큰 저항이 필요한 순간이 오면 강력한 휴진 등에 참여하겠다는 의견이 82%였다.

비대위는 "설문 결과를 바탕으로 격론을 거쳐 무기한 휴진 시작은 유예하기로 했다"며 "단 가톨릭대 병원은 다양한 형태로 잘못된 정부 정책에 대한 항의와 저항을 계속할 것"이라고 했다.

비대위는 정부에 수업을 거부하는 의대생들을 위한 대책 마련도 요구했다. 비대위는 "의대생들이 복귀하지 못한 채 한 학기를 보냈고 이제 이들이 복귀해 수업을 받는다고 해도 감당하기 어려운 수준이다. 정상적인 교육은 불가능한 상황"이라며 "의학교육 근간을 무너뜨리는 현재의 행동을 멈추길 바라며 학생들에게 피해가 최소화될 수 있는 대안을 마련하길 촉구한다"고 했다.

비대위는 전공의들이 요구하는 7대 요구사항도 받아들이라는 입장이다. 앞서 대한전공의협의회가 발표했던 7대 요구안은 ▲의대 증원 계획 및 필수의료 정책패키지 전면 백지화 ▲과학적 의사 수급 추계 기구 설치 ▲수련병원의 전문의 인력 채용 확대 ▲불가항력적 의료사고에 대한 법적 부담 완화 ▲전공의 수련환경 개선 ▲전공의 대상 부당한 명령 전면 철회 ▲업무개시명령 전면 폐지 등이다.

하지만 정부는 내년도 의대 증원은 이미 확정된 만큼 재논의 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다만 전공의 단체에서 제시한 요구 중 의사수급 추계 위한 기구 설치, 수련병원 전문의 인력 채용 확대, 불가항력 의료사고에 대한 법적 대책, 열악한 전공의 수련환경 개선은 논의 중이라는 설명이다.

서울대 의대 교수들이 무기한 휴진을 중단한 후 가톨릭 의대 교수들도 유예에 나서면서 다른 대학과 대한의사협회(의협)의 휴진 결정에도 관심이 모인다. 오는 27일부터 무기한 휴진을 예고했던 의협은 29일 올바른 의료를 위한 특별위원회에서 투쟁 방향을 논의하기로 입장을 바꿨다.

성균관의대 교수 비상대책위원회는 이날 저녁 삼성서울병원과 강북삼성병원, 삼성창원병원 등 3개 병원 교수가 참여하는 총회를 열어 무기한 휴진 등을 논의할 계획이다. 세브란스병원과 서울아산병원은 각각 27일과 다음 달 4일 휴진을 예고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