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푸틴 내주 방북때, 한중 안보대화… 6월 ‘격동의 한반도’

푸틴 내주 방북때, 한중 안보대화… 6월 ‘격동의 한반도’

기사승인 2024. 06. 13. 17:54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북러, 첨단무기 거래 가능성에 촉각
한중, 한반도 정세 논의할 지 주목
日, 납북자 문제 북일 정상회담추진
전문가 "실용외교로 국익 극대화를"
북한 김정은, 푸틴 대통령과 회담<YONHAP NO-1148>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왼쪽)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지난해 9월 13일(현지시간) 러시아 아무르주 보스토치니 우주기지에서 정상회담을 했다. /연합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다음 주 방북이 가시화된 가운데 비슷한 시기 서울에서 한·중 외교안보대화가 9년 만에 열리면서 한반도를 둘러싼 치열한 외교전이 펼쳐질 것으로 예상된다. 북한과 러시아가 밀착하고, 한국과 중국이 관계 개선을 도모하는 동시에 일본은 납북자 문제 등을 해결하기 위해 북한과 접촉하는 등 각국의 외교 셈법이 복잡해지고 있다.

13일 대통령실에 따르면 푸틴 대통령의 북한 방문이 임박한 것으로 전해진다. 외교가는 푸틴 방북일을 오는 18일께로 보고 있다. 푸틴 대통령의 이번 방북이 성사된다면 2000년 7월 이후 24년 만이다. 지난해 9월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러시아 방문 이후 더욱 친밀해진 북·러 관계가 돋보이는 가운데 러시아가 정찰위성, 경제, 에너지 등 분야에서 어느 정도까지 북한을 지원할지에 관심이 쏠린다. 푸틴 대통령의 방북 계기로 북·러가 양국 관계를 새로운 수준으로 높이는 조약을 체결할 가능성이 있다는 전문가 전망도 나왔다.

러시아과학아카데미 중국·현대아시아연구소의 콘스탄틴 아스몰로프 한국학센터 선임연구원은 11일(현지시간) 러시아 극동지역 매체 프리마메디아 인터뷰에서 이 같은 가능성을 언급했다. 1961년 옛 소련과 북한이 체결했다가 1996년 폐기된 '조·소 우호협조 및 상호원조에 관한 조약'(조·소 우호조약)에는 양국 간 자동군사개입 조항이 포함됐는데, 이 같은 정신을 계승하는 협정이 이번 푸틴 방북을 계기로 체결될 수 있다는 설명이다.

다만 일각에서는 러시아가 최근 한국에 우호적인 제스처를 취하고 있는 만큼 북한과 민감한 군사분야 협력에 대해서는 신중한 입장을 보일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외교부 당국자는 이날 북·러의 첨단무기 거래에 대한 우리의 우려사항을 러시아에 전달했냐는 질문에 "북·러 간 군사협력에 대한 입장은 공개적으로 외교채널을 통해 우리 입장을 전하고 있다"면서도 "외교채널 통한 소통 내용은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는다"고 말을 아꼈다.

서울에서는 다음 주 거의 동일한 시기에 한·중 외교안보대화가 9년 만에 열린다. 한·중은 오는 18일 행사 개최를 두고 최종 조율 작업을 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2013년과 2015년 국장급으로 치러졌던 한·중 외교안보대화는 지난달 열린 한·중 정상회담에서 차관급 격상을 합의하고 이번에 처음 열린다. 9년 만에 가동된 채널인 만큼 한·중은 이번 회의에서 양국 의제를 주로 논의할 것으로 전망되지만, 한반도 정세 문제나 푸틴 대통령의 방북에 대한 이야기가 나올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한국은 한·중, 한·러 관계를 잘 다지며 실질적 협력을 이어가는 동시에 중·러가 북한과 밀착하지 않도록 상황을 관리해야 하는 숙제가 주어진 셈이다.

임을출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는 "한·미 동맹의 중심 축을 갖되 주변 국가들과 국익을 위한 유연하고 실용적인 외교를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우리가 외교적 이니셔티브를 확실하게 쥐려면 푸틴 방북 등 사안에 대한 우리 입장·원칙 등을 명확하게 제시하면서, 구체적으로 어떤 방향으로 국익을 극대화할 것이고 상대국과는 이런 이익을 주고받을 것이다라는 로드맵을 명확하게 보여주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일본은 최근 북한 대표단과 몽골에서 비밀 접촉을 한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납북자 문제 해결 등을 위한 북·일 정상회담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