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장용동 칼럼] GTX개통, 수도권 주택시장에 미치는 영향과 과제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files.asiatoday.co.kr/kn/view.php?key=20240403010002168

글자크기

닫기

 

승인 : 2024. 04. 03. 18:46

KakaoTalk_20230322_165435456
장용동 한국주거복지포럼 상임대표
광역급행철도(GTX) 시대의 개막을 알리는 동탄 신도시~서울 수서역 간 34.9㎞ 구간이 지난달 말 개통, 운행에 들어가면서 향후 생활 여건 및 주택시장의 판도 변화가 큰 관심사다. 특히 이번 구간은 GTX 4개 계획 노선 가운데 파주 운정에서 서울역, 삼성역, 수서역 등의 도심을 거쳐 동탄 신도시로 이어지는 GTX-A노선의 남측 구간으로 수도권 주택시장의 핵심권을 통과한다. 북측 구간인 운정~서울역 구간이 연말 개통되면 일산신도시와 대곡역 주변에도 GTX 개통의 영향이 클 전망이다. 또 차례대로 수도권 동서남북을 잇는 GTX-B, C, D 노선과 연장 검토 구간 등이 연달아 준공될 경우 서울 1극 중심의 수도권 생활환경에 큰 변화가 예상된다.

우선 서울권 진입의 관문인 GTX 신규 역세권의 인구 흡인력이 대폭 강화되면서 생활권의 새로운 중심지가 될 공산이 적잖다. 정차역이 많은 광역버스보다 GTX가 원거리 교통에 효과적이어서 역세권 중심의 쏠림현상이 가속화될 것이다. 당장 동탄도 버스로 52분 걸리던 서울 출퇴근 시간이 14분으로 단축되는 영향이 크다. 이번 개통을 기점으로 동탄역과 일산 킨텍스 주변의 주택시장이 꿈틀대는 게 같은 맥락이다. 예컨대 동탄 신도시의 경우 역세권 단지 아파트에서 최근 5개월 만에 1억원 정도 상승하는 등 신고가가 속출하고 있다. 또 그 파동이 주변으로 번지면서 가격이 크게 오르고 거래도 활발한 편이다. 실제로 화성시 아파트 거래량이 지난해 12월 1408건에서 올해 1월 1998건으로 41.9% 정도 증가했다.

고양시 덕양구 역시 아파트값이 9주 연속 오르는 추세다. 지난 2월 한 달간 가격이 0.33% 오르면서 수도권에서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인 데 이어 아파트 거래량 역시 최근 2개월간 71.9%가 급증하는 등 시장이 활기를 띠고 있다. 남측의 용인 구성역과 성남역, 북측의 대곡역 역시 집적도가 강해지면서 향후 주택시장이 강보합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역세권 중심의 인구 집적은 상권, 일자리, 서비스 등에서도 강세를 보이면서 지역 경제의 핵심으로 부상할 가능성이 크다.

아울러 GTX의 연이은 개통은 중장기적으로 수도권 위성도시의 선호도를 분산, 외연 확장의 결과를 가져올 것으로 보인다. 소득에 따라 서울 인접지에서 수도권 원거리까지 주거지를 확대, 거주하는 성향이 강하게 나타날 것이다. 북쪽으로 의정부, 덕정, 동쪽으로 마석, 서쪽으로 송도는 물론 해당 지역에서 연계되는 외곽까지 인구의 재편 바람이 불 것으로 보인다. 심지어 천안과 아산도 GTX-C 노선 연장에 따른 영향권에 들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수도권 집중완화에는 큰 영향을 발휘하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 더구나 1인 가구 증가와 고령화에 따른 주거지 재편과 주거 유형 변화에 대한 세심한 정책이 나오지 않는다면 한계에 직면할 수밖에 없다. 젊은 층의 경우 일자리와 시간적 소모, 교통비용 외에도 생활 서비스 수준 등을 고려, 여전히 서울 중심의 주거지를 선호할 공산이 크다. 서울 중심의 대기업과 대학은 젊은 1인 가구 탈서울의 일차적 제한적 요인이다. GTX 개통은 원거리 장기수송체계인 KTX, SRT 개통 때와 다소 다르겠지만 자칫 수도권 외곽 위성도시의 경제력을 서울에 빼앗기는 이른바 빨대효과(strow effect)를 불러올 수도 있다.

이 때문에 주거비 부담이 적고 주거 서비스가 제대로 갖추어진, 젊은 층이 선호하는 주거 유형 개발은 절대적이다. 더구나 주택시장이 날로 양극화되면서 주거비가 급상승하는 현실을 고려하면 이를 해소할 정책이 시급하다. 코-리빙(co-living)에 이어 캡슐 주택까지 등장하는 선진 도시들의 주택 니즈가 이를 말해준다. 마찬가지로 초고령사회에 접어들면서 노인 계층의 병원 등 건강서비스 인프라 및 요양시설 공급 역시 큰 관심사다. 수도권 외곽에 값싸고 편리한 요양시설을 대거 확충한다면 주거의 광역화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

장용동 한국주거복지포럼 상임대표

※본란의 칼럼은 본지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

댓글 작성하기